칼리 리눅스 한글 패치 칼리 리눅스를 설치했는데 한글패치가 안되어있어서 화면에 이상한 문자들만 가득했다. 다음과 같이 한글패치를 진행해보자 1vi /etc/apt/sources.listcs 위와같이 vi 에디터로 sources.list 파일을 열어 아래의 문장을 추가해서 apt로 가져올 수 있는 사이트를 추가해보자 1deb http://httpredir.debian.org/debian jessie main non-free contribcs 위의 문장을 입력했다면 아래의 명령들을 입력하자 123apt-get updateapt-get install nabi im-switchapt-get install fonts-nanum*cs 위와 같이 입력해서 한글패치를 마치자 ETC/knowledge 7년 전
CrossCompile - ARM,MIPS 컴퓨터구조론 강의를 들으면서 배운 ARM과 MIPS 방식이 실제로 어떻게 돌아가는지 궁금증이 생겼다. 그래서 검색해보니 CrossCompile을 진행하면 c언어가 원하는 환경으로 멀티 컴파일 되어 코드를 다른 방식으로 역어셈블을 할 수 있게된다고 한다. 이러한 환경변경을 가능하게 해주는 유틸리티가 있다.바로 가상화 소프트웨어중 하나인 QEMU이다. Install 12345678910sudo apt-get install -y gcc-multilib-arm-linux-gnueabisudo apt-get install -y gcc-multilib-arm-linux-gnueabihfsudo apt-get install -y gcc-multilib-mips-linux-gnusudo apt-get install -.. Study/reversing 7년 전
리눅스 32bit, 64bit 확인하기 getconf LONG_BIT 32 또는 64라는 값을 출력한다. archx86_64 또는 i386 또는 i686을 출력 uname -m 현재 작동중인 머신(하드웨어)과 운영체제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uname 명령어에m 옵션을 주어 머신타입을 출력한다. arch와 동일한 결과 echo $HOSTTYPEHOSTTYPE 변수의 값을 출력. arch와 동일한 결과 lscpu | grep Arch cpu의 정보를 출력하는 lscpu 명령의 출력결과에서 "Arch" 단어검색 ETC/knowledge 7년 전
Packet sniffer develop #Libpcap Libpcap이란? "Portable Packet Capturing Library"의 줄임말이다. 편리한 패킷 캡쳐 라이브러리로 해석되며 쉽게 풀어보면"패킷을 캡쳐할 수 있는 편리한 함수의 모음"이라고 이해하면 좋을 것 같다. pcap 이외에도 비슷한 도구들이 많다SOCK_PACKET, LSF, SNOOP, SNIT 등 운영체제 종속적이지 않고 가장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기에 pcap 라이브러리를 사용한다고 한다. Libpcap 설치하기 우분투 환경이기때문에 아래와 같이 libpcap을 설치하면 된다 sudo apt-get install libpcap0.8-dev 이제 gcc 컴파일시 -lpcap 옵션만 주면 된다 카테고리 없음 7년 전
리눅스 로그인시 배너(공지) 설정 개인적인 용도로 서버를 운영하고 있다. 친구들과 같이 사용하고 있는데, 로그인시 배너를 수정하고 싶은 마음에 알아본 것을 정리해보자. /etc/issue 로컬 콘솔 접속 시도시 보여줄 메시지 파일이다.이를 설정하면 로그인 전에 화면을 설정할 수 있다. /etc/issue.net 원격접속을 시도했을 때 보여줄 메시지 파일이다.이를 설정하면 로그인 전의 화면을 설정할 수 있다. /etc/motd 로그인에 성공했을 때 보여줄 화면이다.로컬접속과 원격접속 모두 해당된다. 아래는 motd 파일을 수정하여 캐릭터와 함께 나의 닉네임을 넣어본 화면이다 ETC/knowledge 7년 전
리눅스에서 환경변수 리눅스에서 환경변수란 무엇일까? 환경변수는 프로세스가 컴퓨터에서 동작하는 방식에 영향을 미치는 동적인 값들의 모임으로 시스템의 환경 정보를 가지고 있다. 이는 어떤 프로그램에서 시스템의 환경 정보가 필요할 때 스스로 처리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mv와 같이 /bin이나 /usr/bin에 있는 프로그램 등은 환경 변수 PATH에 포함되어있는 경로에서 해당 명령을 찾아 실행한다. env 모든 설정되어있는 환경 변수를 조회하는 명령이다. export 환경 변수 목록을 조회할 수 있다.export 변수명 = 변수값 의 문법을 취하면 수정도 가능하다다만 export명령으로 변경된 환경변수는 해당 사용자의 로그아웃시 소멸된다.영구적으로 변경하기 위해서는 /etc/profile 등을 직접 수정해야한다. Study/system 7년 전
vi에서 검색기능 이용하기 vi를 이용하다보면 설정파일을 바꾸어야할 때가 있다. 하지만 너무 긴 문서는 하나하나 찾기 힘들기 때문에 검색기능을 이용해야하기 마련이다. vi에선 /를 이용해서 검색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1:/optioncs 위와같이 명령어 입력상태에서 /찾을글자 와 같은 형식으로 타이핑 하고 엔터를 누르면 검색할 수 있다. 또한 검색결과가 여러개라면 n을 이용해 다음 검색결과를 볼 수 있고 대문자 N을 이용하여 이전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ETC/knowledge 8년 전
ELF란? 해킹대회를 나가면 매번 확장자가 없는 파일이 주어진다. 이를 분석해보면 ELF형식의 파일임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이에 대해 검색하면 정말 엘프(ELF)밖에 나오지 않는다. ELF파일이란? 윈도우의 exe파일과 비슷한 유닉스 계열 시스템들의 표준 바이너리 파일형식이다. Executable and Linkable Format의 약자이며 해석하면 실행가능하고 링크가 가능한 포맷이라고 이해할 수 있다. 이 포맷의 구조는 아래와 같다고 한다. ELF 헤더 프로그램 헤더(세그먼트) .text섹션(코드영역) .rodata섹션(ReadOnlyDATA) .data섹션 .got섹션 .symtab섹션 .strtab섹션 섹션 헤더(섹션) 아직은 모르는게 있지만 내가 직접 짠 간단한 코드를 가지고 공부해보면서 하나씩 터득해야.. ETC/knowledge 8년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