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커스쿨.Section 17 Section 17 스택에 저장되는 값들 살펴보기 변수가 스택에 어떻게 저장되는지 살펴보기 위해 아래와 같은 코드를 살펴보자 a -> b -> c-> d 순서로 변수를 선언했기 때문에 a부터 스택에 쌓일것이다. 아래 결과를 살펴보자 예상했던 대로 가장 먼저 선언한 a의 값인 1이 가장 높은 주소에 저장되어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번에는 int형이 아닌 자료형이 선언될 때 어떻게 선언되는지 살펴보자 우선 1바이트의 크기를 가진 char형을 선언한 코드는 아래와 같다. 결과를 보면 4바이트 할당되어있고, 7이란 값이 들어가 있기는 하다 그러나 07 앞에있는 eb 83 04는 무엇일까? 우리가 프로그래밍을 하다보면 초기화를 안하고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변수에 값을 넣지 않은채로 출력하게 되면 이상.. Study/system 7년 전
해커스쿨.Section 5 Section 5 각 변수의 메모리 주소 비교해보기 이번에는 변수가 어떤 순서대로 메모리에 할당되는지 알아보자 위에서 알 수 있듯이 변수는 높은주소부터 할당된다 a와 b 주소차이는 14이며 10진수로 20. 즉, 문자배열 20바이트와 같다. 만약 문자배열 20칸을 넘어 a의 영역을 침범하게되면 어떻게 될까? Study/system 7년 전
php :: 출력과 변수 PHP에서 출력명령은 echo로 아래와 같이 사용할 수 있다. 변수는 $를 붙여 사용할 수 있으며 출력과 함께쓰면 아래와같이 사용할 수 있다. Programing/php 8년 전
Javascript :: 변수와 연산자 위와 같은 모습을 변수를 이용하여 출력해보자 위에서 알 수 있듯이 변수를 선언할 때는 var을 사용하며 자료형이 없어도 된다. 자바스크립트의 연산자는 타 언어들과 비슷하다+ - / * 의 사칙연산이 존재하고 += -= /= *= 또한 사용할 수 있다. 비교연산자 또한 === != = > < 로 c언어와 비슷하다.논리연산자의 경우에도 c언어와 동일하게 && || ! 가 있다. Programing/Javascript 8년 전